반려동물 등록제 등록방법 등록기간
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제도가 바로 반려동물 등록제입니다.
등록 안 하면 어떻게 될까? 언제까지 등록해야 할까?
이번 글에서는 반려동물 등록제 등록방법과 등록기간에 대해 꼭 필요한 정보만 정리해드릴게요.
내 반려동물, 등록 안 하면 불법일까?
처음 강아지나 고양이를 입양하면 신경 쓸 게 한두 가지가 아니죠.
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반려동물 등록제 등록의무입니다. 그냥 집에서 키우는 데 굳이 등록까지 해야 하나? 생각하실 수 있어요. 하지만 현행법상 등록 대상인 반려동물을 등록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게다가 등록을 해두면 반려동물 분실 시 신속한 찾기 가능은 물론, 유기 방지에도 도움이 됩니다.
✅ 이 글에서는 다음을 알려드립니다:
- 반려동물 등록제 등록방법
- 반려동물 등록제 등록기간
- 등록 안 했을 때 발생하는 불이익
반려동물 등록방법, 어떻게 해야 할까?
반려동물 등록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:
내장형 등록 | 반려동물 피부 아래에 마이크로칩을 삽입해 영구 등록 |
외장형 등록 | 인식표 형태로 목줄 등에 부착 가능 (분실 우려 있음) |
현재는 내장형 등록이 기본 방식으로 권장되고 있으며, 일부 지자체는 내장형만 허용하기도 합니다.
등록을 원할 경우, 지자체가 지정한 동물병원이나 동물 등록 대행 기관을 방문하면 됩니다.
📌 준비물: 반려동물, 소유자 신분증, 수수료 (지자체마다 상이, 보통 1~2만 원대)
반려동물 등록기간, 언제까지 해야 할까?
반려동물 등록기간은 기본적으로 생후 2개월이 지난 후 30일 이내입니다. 또는 입양, 이전 소유권 변경 시 변경일로부터 30일 이내 등록도 필수입니다.
생후 2개월 이상 시점 | 30일 이내 등록 필수 |
입양, 구매, 선물 등으로 소유권 이전 시 | 30일 이내 변경 신고 |
반려동물 사망 시 | 30일 이내 신고 필요 |
등록기간을 넘겨 등록하지 않으면 최대 6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특히 2020년 이후 단속이 강화되면서 지자체별 집중 단속 기간도 시행 중이니 주의해야 해요.
반려동물 등록제, 꼭 해야 하는 이유는?
반려동물 등록제, 등록방법이나 등록기간만 알아두는 걸로 끝나면 안 됩니다. 왜 꼭 등록을 해야 할까요?
- ✅ 분실 시 빠른 찾기 가능 (등록번호 조회)
- ✅ 유기 방지 및 동물 보호 효과
- ✅ 동물복지 정책 수립에 기반 자료로 활용
- ✅ 법적 의무 이행을 통한 과태료 예방
특히 실내견이라 괜찮다고 방심했다가 한 번이라도 잃어버리면 등록 안 된 경우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
반려동물 등록제, 지금 바로 등록부터 하세요!
반려동물 등록제 등록방법과 등록기간은 법적으로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입니다. 간단한 등록만으로 소중한 반려동물을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, 오늘이 바로 등록을 시작할 가장 좋은 날입니다.
📌 지자체 동물등록 지정 병원은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서 확인 가능
📌 등록 여부는 같은 시스템에서 '등록번호 조회'로 바로 확인 가능
'반려동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려동물 비행기 탑승 조건, 준비물, 기내에 데려가도 될까? (1) | 2025.07.28 |
---|---|
키우기 쉬운 강아지 BEST 3 (4) | 2025.07.25 |
시베리안 허스키와 말라뮤트 구분법, “이 둘은 다릅니다!” (0) | 2025.07.21 |
시베리안 허스키 성격, 이렇게 오해하면 큰일 납니다! (3) | 2025.07.21 |
포메라니안 키우기 (성격, 주의점, 사회화) (2) | 2025.07.16 |